메뉴
로그인

학회소식

공지사항

2012년 제9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공모주제 사전공고에 관련된 안내

한국조경학회 2011-12-28 09:00 조회수 3209

2012년 제9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공모주제 사전공고에 관련된 안내

  

공모전을 준비하는 조경학과 및 관련학과 학생들에게 안내합니다. 2012년 공모주제는 예년과 달리 동계방학 전에 결정되어 졸업작품과 조경대전 공모전을 겸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3월초 공식적인 공모주제가 발표되지만 공모전 운영위원회에서는 12월중에 위와같은 주제가 조기 결정되었기에 사전 공지하기로 하였습니다.

금번의 주제에 해당되는 대상지로는 예시된 카테고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도 주제에 대한 질문이나 설계자들이 의도하는 방향과 금번 주제와의 적합성에 대한 질문사항은 늘푸른재단이나 조경학회 사무국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2012년 제9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공모주제

 

경계의 풍경, 그 경계境界를 넘어

landscape on the edges, design beyond the borders

자연에 경계를 치고 자연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이 인간의 문명과 문화의 역사였다면, 그 속에서 조경은 경계 내부에 자연을 가두고 기능적, 시각적으로 다뤄온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의 인간-자연 관계는 더욱 복잡하고 다면적으로 그 경계의 공간 위상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규모에 관계없이 그 내 외부를 관통하는 특질과 맥락, 시간에 의해 형성된 적층의 두께를 통해 경계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경 또한 자연을 가둠으로써 그 존재이유를 부여받던 경계를 스스로 해체해야 하는 입장에서, 그 경계의 공간들을 다시 보기 위해 현상과 문제를 찾도록 요구받고 있다.

도시 주변의 그린벨트, 도시 내에 존재하는 녹지와 농지, 하천과 수변, 그리고 도시적 용도에서 유보되어 경계가 그어진 땅들... 그 공간들을 따라가면 다양한 경계의 풍경과 만날 수 있다. 그 경계의 풍경에서는 도시와 자연이 만나 왜곡된 모습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도시와 자연 혹은 개발과 보전의 사이의 갈등이나 타협이 포함되기도 하며, 경계 내 외부를 다루는 분야와 집단 간의 영역, 제도의 차이라는 문제도 존재한다.

실은, 경계의 공간·경계의 사건은 연결과 컨텍스트 혹은 네트워크라는 공간적 방식과 하이브리드라는 탈쟝르의 측면으로도 다뤄져 왔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그 경계의 위치와 범위를 알지 못한다. 그 경계에 주목하는 것은 시각적 측면에 머물렀던 풍경의 경계를 넘는 일이기도 하며, 경계를 지우기도 하지만 경계를 넓혀 풍부하게 하는 일이기도 하다.

조경의 경계는 어디이며, 경계의 풍경은 어떤 모습인가...? 경계를 넘어 경계를 찾아서...

 

카테고리

(1) 도시와 주변 자연녹지의 경계 : 도시주변의 산과 도시림 등 도시의 경계부에 있어 이용과 개발이 자연녹지.지형이 만나는 방식의 모색

(2) 도시기반시설의 경계 : 도시공원과 같이 도시기반시설이면서 그 경계로써 구별되는 토지에 대한 기능적, 경관적, 생태적 해법

(3)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경계 : 다양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주거공간에 있어서 정원과 공공공간의 공존

(4) 도시 내 가로녹지, 하천과 수변이라는 경계 : 단지 점유요소에 의해 구별되는 선적 경계가 아니라 생물을 포함한 인간에게 어떻게 풍부한 만남을 제공할 수 있는가의 장소적 해법

(5) 기타, 지금까지 물리적, 심리적 경계가 되어 온 땅들의 해체를 위한 조경계획.설계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