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자등록번호 : 220-82-60082 대표자 : 배정한 단체명 : (사)한국조경학회
(05116)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56길 85 테크노마트 사무동 18층 08호 - 대표전화 : +82-2-565-2055 E-Mail : kila72@daum.net 연락 가능 시간 : 09:30-17:30
인사말
한국 조경학과 조경교육의 다음 50년을 설계합니다

조경(造景; landscape architecture)은 “아름답고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인문적․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와 경관을 계획․설계․조성․관리하는 문화적 행위”(한국조경헌장, 2022)입니다. 1972년 창립한 한국조경학회는 지난 50여 년간 도시와 경관, 지역과 환경, 삶과 문화의 틀과 꼴을 직조하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인류세와 기후변화 시대의 위기를 마주하며 제27대 한국조경학회(2025~2026년)는 “한국 조경학과 조경교육의 다음 50년을 설계한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세웁니다. 선학과 선배들이 쏟아부은 노력과 열정을 자양분 삼아 다음 50년의 기반을 다지고 혁신 좌표를 제시하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1. 조경교육의 현재를 돌보고 미래를 가꾸겠습니다
한국 조경의 미래는 교육과 인재 양성에 달려 있습니다. 조경교육이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학문분과이자 전문직능인 조경(학) ‘전문 교육’의 목표, 체계, 내용을 재정립하는 데 힘쓰겠습니다. 전문 교육, 학위, 면허로 이어지는 연속적 시스템과 제도를 준비하겠습니다.
∙ 전국 대학 조경교육 현황 조사와 분석, 해외 사례 연구
∙ (가칭)‘조경교육 혁신위원회’ 운영과 교육 인증제 의견 수렴
∙ 한국조경협회, 한국조경가협회 등이 추진하는 ‘조경사’ 자격제 지원
2. 조경 지식과 이론을 생산하고 소통하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기성 학자는 물론 미래 세대와 함께 동시대 사회와 문화에 던져진 공간․환경 의제에 응답할 조경 지식과 이론의 방향을 찾아가겠습니다.
∙ 매월 1회 온/오프라인 포럼(학술 세미나, 근작 강연, 북토크, 이론 워크숍 등) 개최
∙ 기후변화, 회복탄력성, 인류세와 비인간, 공간정의, 공원혁신, 국토경관, 도시경관재생, 공원도시, 정원도시 등 당면 의제에 관한 연구 성과 공유와 확산
∙ 미래 세대 조경 연구자 지원과 신진 연구자 네트워크 조직
∙ 해외 한국계 조경가/학자와 협력, 국제 조경학/협회들과 교류 확대
3. 한국 조경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시작하겠습니다
도시와 경관, 공간과 장소를 둘러싼 글로벌 이슈를 조경(학)의 시선으로 대면하고 한국 조경의 다음 50년을 설계하기 위한 필요조건은 지난 50년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저장하는 일입니다. 더 늦기 전에 시작하겠습니다.
∙ 작품, 교육, 연구 성과, 인물 등 방대한 자료와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 정리, 공유하는 장기 아카이브 프로젝트 착수
∙ 1세대 조경가와 조경학자 구술 기록 시리즈 기획
∙ 조경 매체, 관련 기관․단체와 아카이브 협력 체계 구축
회원 한분 한분의 다양한 목소리에 성실히 귀 기울이겠습니다. 학회를 넘어 업계, 시민사회, 언론, 정부․지자체, 관련 분야의 다양한 주체와 연대하겠습니다.
한국조경학회는 즐거운 참여와 열린 소통을 지향합니다. 함께해 주십시오. 응원해 주십시오. 그리고 견제와 질책의 목소리도 아끼지 말아 주십시오.
(사)한국조경학회 제27대 회장
배 정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