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자등록번호 : 220-82-60082 대표자 : 배정한 단체명 : (사)한국조경학회
(05116)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56길 85 테크노마트 사무동 18층 08호 - 대표전화 : +82-2-565-2055 E-Mail : kila72@daum.net 연락 가능 시간 : 09:30-17:30
조경계 소식
[신간안내] 미술로 본 조경, 조경으로 본 도시
[ 신간 소개 ]
- 미술로 본 조경, 조경으로 본 도시 -
이 책은 르네상스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조경디자인을 중심으로 미술 및 도시계획과의 역사적, 양식적 관련성을 찾아내려 한다. 이들 세 분야는 근대 이후에 별개의 장르로 성장하여 왔으나 내적으로는 부단한 영향관계를 주고받아 왔는데, 문명 초기부터 인류의 이상향을 재현하여 왔다는 점에서 운명적으로 공유부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조경은  미술의 자매예술이었으며 대부분 경관설계의 모형은 그림으로부터 촉발되었다. 또한 근대 이후에 성립된 조경과 도시계획은 역사적으로 보아 쌍생아적 성격을 갖고 있어서 근대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아이디어들을 공유하며 협업하여 왔다. 세 분야를 아우르면서 그들 간의 내적 흐름을 들여다보기 위한 틀로서 서양 세계관의 양대 축인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안에서 이들의 전개를 비교하고 종합하였다.
21세기의 새로운 정신은 이들 세 분야가 다시 융합하여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실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대 말기에 등장한 대지예술과 함께 조경과 도시계획은 ‘대지’와 ‘생태’, ‘시간’과 ‘경관’이라는 테마를 공유하며 탈산업 사회의 새로운 이상향의 모형을 찾아가고 있다. 이 책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조경과 도시양식의 맥락적 전개에 하나의 조망점을 제공하려 한다. 환경과 문화예술에 관심 있는 시민들의 참여와 논의가 기다려진다.
□ 저자: 김한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한국경관학회장, 전 한국조경학회장
□ 출간일: 2017. 2. 28
□ 발행: 도서출판 날마다(발행인 김현선)
□ 정가 32,000원
□ 주요내용
  미술, 조경, 도시계획은 근대이후 별개의 장르로 성장하여 왔으나 내적으로는 부단한 영향관계를 주고받았다. 그 핵심은 세 분야가 이상향의 재현이라는 공통된 명제를 추구하고 있었고, 이를 시각적, 공간적, 이념적으로 표현해 왔다는 면에서 예술적 측면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본서는 융복합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이들 세 분야 간의 상호영향관계를 탐구하려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이 책은 환경디자인의 주요 장르들 속에서 관련 분야들 간의 사고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려는 기본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메타 사조인 서양 예술양식사의 양대 축인 합리주의와 경험주의의 틀 속에서 르네상스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세 분야 간의 복합적인 영향관계의 전개과정과 쟁점들을 상호 비교하고 있다.
□ 저자 소개
김한배(金漢培)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학교, 서울시립대 조경학과와 서울대 환경대학원을 거쳐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를 거쳐 서울시립대 조경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조경설계, 조경미학, 현대조경론, 경관계획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조경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경관학회장에 재임 중이다.
저서에 ‘우리도시의 얼굴찾기, 1998, 태림문화사(문화관광부 ‘98우수학술도서 선정)’가 있고 공저에는 ‘보이지 않는 용산 보이는 용산, 2009, 서울학모노그라프 02, 도서출판 마티’ 외 11권이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 2012. 조선시대 산수화의 경관관이 원림양식에 미친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0/2: 49-63
- 2010.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영향-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6, pp. 85-95
- 2008.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한국조경학회지 36/5, pp.1-12
외 90여편이 있다.
□ 차   례
서문: 미술문화의 이중나선적 전개와 조경, 도시
I장. 이상향의 원시모형
I-1. 이상향의 원형과 전개
1. 이상향의 역사
2. 이상향의 유형
2-1. 파라다이스형 이상향
2-2. 아르카디아형 이상향
2-3. 유토피아형 이상향
2-4. 동아시아의 이상향
3. 이상향의 기본구조와 경관특성
4. 이상향과 그림, 정원, 도시
4-1. 이상향과 그림
4-2. 이상향과 정원, 도시
I-2. 이상향 실천의 양면성: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II장. 합리주의의 풍경: 르네상스로부터 정형적 모더니즘까지
II-1.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미술, 정원, 도시
1. 르네상스 미술과 원근법
1-1. 대이론과 형식미학
1-2. 원근법과 고전주의 공간
2. 정원과 도시의 동거, 기념비적 도시
2-1. 르네상스의 이상도시(1457-64)와 그 유산
2-2. 식스투스 5세와 로마 도시개조(1585-1590)
2-3. 베르사이유 궁원(1661-1686)과 장대한 거리
2-4. 랑팡의 워싱턴디시 계획(1791)
3. 오스만의 바로크 파리 만들기(1852-1870)와 그 역설
4. 도시미화운동(1893-1920)과 그 역설
4-1. 옴스테드와 번햄: 컬럼비아 박람회(1893)의 절충주의
4-2. 도시미화운동의 삶과 죽음
II-2. 정형적 모더니즘의 미술, 조경, 도시
1. 근대주의의 아이콘: 추상미술
1-1. 근대미술의 독립과 자율 과학주의 미술의 대두
1-2. 주지주의적 추상
2. 모던 유토피아의 이념: 바우하우스(1919)와 C.I.A.M.(1933)
3. 르꼬르뷔지에와 기념비적 추상도시
4. 추상적 도시조경의 성립과 전개
III장. 경험주의의 풍경: 낭만주의로부터 유기적 모더니즘까지
III-1. 낭만주의 시대: 풍경화와 정원, 도시
1. 풍경화의 삶과 죽음
2. 인클로저 운동과 유토피아, 풍경식 정원의 역설
3. 낭만주의 미학과 픽처레스크 정원
4. 18-19세기 영국의 픽처레스크 도시 만들기
5. 공원도시와 픽처레스크 도시, 전원도시: 옴스테드, 지테, 하워드
5-1. 시민혁명, 산업혁명과 공공공원의 탄생(1843)
5-2. 옴스테드, 미국 도시공원의 탄생과 전개(1857)
5-3. 지테의 예술적 도시경관론(1889)
5-4. 낭만주의 도시계획의 탄생-하워드의 전원도시(1898)
III-2. 유기적 모더니즘 미술과 조경, 도시
1. 유기적 근대미술과 경험주의 미학
1-1. 인상주의와 아르누보의 풍경
1-2. 경험주의 미학
1-3. 정신분석학과 상징론
1-4. 게쉬탈트 미학: ‘도형과 바탕(Figure and Ground)’의 상대성
2.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미술(1925)과 유기적 디자인 
2-1.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 미술
2-2. 유기적 추상과 유기적 디자인
3. 유기적 전원도시의 확산과 근린주구의 역설
3-1. 전원도시의 확산과 변형
3-2. 근린주구의 역설
4. 유기적 도시조경의 전개
IV장. 포스트모더니즘의 풍경: 새로운 사실주의와 혼성성
IV-1. 새로운 리얼리즘으로
1. 20세기말 미술의 리얼리즘 회귀
1-1. 누보리얼리즘(1960), 팝아트
1-2. 신형상주의(신표현주의)
1-3. 미니멀리즘과 대지예술 
1-4. 인스톨레이션, 참여미술
1-5. 생태미술
1-6. 부활하는 초현실주의
2. 탈모던적 도시와 경관의 이론들
2-1. 도시의 리얼리티-제이콥스 여사의 탄원
2-2. 심리, 지리학적 관점
2-3. 후기구조주의의 관점
2-4. 현상학적 장소론의 관점 
2-5. 조경생태학적 관점
IV-2. 21세기 조경, 도시설계의 지평
1. 조경의 지평
1-1. 조경의 창의성과 자의성  
1-2. 포스트모던으로의 이행
1-3. 조경의 혼성화와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Landscape Urbanism)
2. 도시의 지평
2-1. 전원도시의 진화
2-2. 도시미의 진화
후기: 이상향을 넘어서
1. 종합
2. 지금,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