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자등록번호 : 220-82-60082 대표자 : 배정한 단체명 : (사)한국조경학회
(05116)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56길 85 테크노마트 사무동 18층 08호 - 대표전화 : +82-2-565-2055 E-Mail : kila72@daum.net 연락 가능 시간 : 09:30-17:30
조경계 소식
[도시연대] 기획토론회 `주민이 주도하는 단지·도시재생의 가능성` 안내
- 일시: 2014년 07월 02일 15시 ~ 18시
- 장소: 서울 시민청 지하2층 워크숍 룸
 
 의미
아파트단지나 도시공간은 우리들의 거주의 공간으로서 일과 후 심신을 편히 쉬어 그 말 그대로 우리들을 재생(RECREATE)하는 곳입니다. 이렇게 재생된 몸과 마음으로 우리는 다음날과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 아파트단지나 도시공간은 우리들의 공동의 삶의 터로서 다양한 공동체적 삶의 모습이 펼쳐지는 곳입니다. 이러한 모습 중에는 공동체의 재정적 기반을 위한 사업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단순히 재정확충의 목적을 넘어 주민들의 공동체적 결속력을 키우는 동인이 되기도 하며 사회적 배움과 일자리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주거지가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으로도 재생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도 있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시각은 우리만의 관심사가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관심의 대상입니다. 이 번 토론회는 물리적으로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실제적 사례들을 통하여 관심 있는 시민과 전문가들이 소통하여 앞으로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내용
이번 토론회에서는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재생에 대한 베를린 사례의 소개와 더불어 ①2014년 LH 사회공헌사업 생태마을만들기를 통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마을공동체를 위해 남겨진 과제 ②임대아파트에서 실현되는 사회적 경제의 꿈. 부산시 덕천주공 임대아파트에서의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의 실현 사례 소개 ③임대아파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의 관계 속에서 아파트 단지와 주민의 재생과 자활을 위한 복지관의 노력 등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물리적 재생, 재생의 주체와 관계, 그 속의 대안적 경제모델의 추구, 세 영역의 주제를 임대아파트라는 특수한 환경의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아파트의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모델의 실현, 임대아파트의 복지환경 개선 등 다양한 주제를 향한 다양한 관심주체들의 참여를 희망합니다.
 
 프로그램
 
1. 발제
기조발제
1) 도시도 재생하고 주민도 재생하기 Prinzessinengarten Berlin
- 김기호 (도시연대 대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사례발제
1) 임대아파트 외부공간의 재생 (LH생태마을만들기 사례)
- 김정수 (김해시 구산주공1단지 관리소장)
2) 임대아파트 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협동조합, 마을기업의 가능성 (덕천주공 임대단지의 사례)
- 김익중 (부산시 덕천종합사회복지관 과장)
3) 임대아파트의 재생과 자활을 위한 복지관의 역할 (하안주공 임대단지의 사례)
- 배명수 (광명시 하안종합사회복지관 팀장)
 
2. 토론
토론자
- 황희연 / 좌장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박경원 (서울시 복지재단 과장)
- 이영범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교수)
- 김완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교수)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문의 
도시연대 활동가 박재신 ( 02-735-6046 / 010-8548-0354 / dosi@dosi.or.kr )